라벨이 DPP인 게시물 표시

전세계 언어 번역 기사 보기 - Translate

지속가능패션이니셔티브(SFI), 섬유패션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플랫폼 최초 출시

이미지
에코디자인 표준인덱스 기반 지속가능정보 수록, 향후 업계판도 바꿀 새로운 도구로 등장  이미지 제공 : 지속가능패션이니셔티브 (SFI) 지속가능패션이니셔티브(SFI, 주상호 추진위원장) 는 디지털 솔루션 스타트업 기업인 ‘패션프루프’와 함께 EU가 주도하는 디지털제품여권 (Digital Product Passport, DPP)에 대응하기 위한 섬유패션 전용 DPP 플랫폼 베타 버전을 국내 최초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또한 별도의 IT 인프라 투자 없이 이 플랫폼을 활용해 자사의 DPP 구현 파일럿 프로젝트를 희망하는 업체를 모집한다고 공개했다.  DPP는 제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는 도구이다.  소비자가 제품 라벨에 인쇄된 QR 코드를 스캔하면 입력한 모든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패션의류의 지속가능한 가치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창구가 된다는 의미이다.  섬유패션 DPP는 22년 3월 발표된 EU의 ‘지속가능 순환섬유 전략’에 포함되면서 주목을 받아왔다.  2027년부터 의무시행이 결정되었으나 이미 많은 글로벌 패션브랜드들이 DPP를 통해 제품의 기본 정보뿐 아니라 지속가능 정보를 소비자와 공유하고 있다.  이것은 DPP 부착이 소비자 신뢰, 구매 전환율, 재구매 의사 제고 등을 통해 매출증대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인데 실제로 지난 6월초 실시한 SFI 설문조사에서도 DPP를 통해 지속가능정보를 확인하였을 경우 소비자의 76.7%가 제품에 대한 신뢰나 호감도가 높아지며 79.5%는 구매의향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DPP는 소비자 혁명을 불러 일으키며 대응여부에 따라 업계판도를 바꿀 새로운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섬유패션 전용 DPP는 국내 섬유패션기업들의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전환이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SFI와 패션프루프가 공동으로 개발하였는데 데이터 필드에 수록된 정보 항목들은 섬유패션 ESG 표준제공기관인 SFI의 에코디자인 표준인덱스를 기반으로 도출된 것이다.  섬유패션 전용

‘디지털제품여권(DPP)’ 부착시 소비자의 79.5% 구매의향 표명, 지속가능 패션 이니셔티브 설문 결과

이미지
재활용순환, 환경영향, 공급망 정보 폭넓게 포함되어져야  DPP부착 시범 사업, 시행규정 마련 등 정부지원 필요  섬유제품에 부착된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이하 DPP)을 통해 지속가능 정보를 확인하였을 경우, 소비자의 76.7%가 제품에 대한 신뢰나 호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79.5%는 실제로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속가능 패션 이니셔티브(www.koreasfi.org) 가 국내 섬유패션업계 종사자와 소비자 1,45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지속가능 패션 이니셔티브 는 정보공개 의무를 명시한 EU의 에코디자인 규정에 따라 시행이 예상되고 있는 DPP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5월22일부터 6월5일까지 2주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DPP란 원자재부터 생산, 유통, 소비, 재활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에 걸친 정보를 QR코드 등의 전자표식에 담아 라벨로 부착하는 방법으로 소비자들은 모바일 스캔을 통해 모든 지속가능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EU의 경우 섬유제품, 전자제품, 배터리를 시작으로 EU 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에 DPP 부착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국내 소비자들의 경우 DPP에 대해 매우 잘 이해하고 있다는 응답은 8.3%에 그쳤으나 섬유제품에 대한 DPP 시행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필요하다 58.7%, 매우 필요하다 18.6%로 무려 77.3%가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또한 DPP를 통해 친환경 생산여부(50.8%), 지속가능 소재 사용여부(49.6%), 재활용, 수선방법 및 수선처(44.7%) 그리고 탄소배출량 또는 제품 이동거리(39.8%) 등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정품인증 등 제품의 진위 여부나 친환경 인증 보유 여부가 예상보다 낮은 응답율을 보인 것은 이제는 소비자들이 제3자의 평가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 제공된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