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본(Metabon), AI기반 시니어 구직 ‘시니어즈(SENIORZ)’ 출시

중장년층 일자리 시장 혁신 예고 ... 중장년 재취업 문턱 낮춘다

시니어 일자리 시장에 인공지능(AI) 기술이 본격 도입됐다. 스타트업 메타본(Metabon)은 중장년층과 시니어 세대를 위한 AI 기반 일자리 추천 플랫폼 ‘시니어즈(SENIORZ)’를 정식 출시했다.

메타본(Metabon), AI기반 시니어 구직 ‘시니어즈(SENIORZ)’ 출시
시니어 전용 AI 일자리 플랫폼 ‘시니어즈’의 주요 기능 화면 구성(이미지=메타본)

한국은 내년이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1%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노인빈곤율은 OECD 국가 중 1위(약 40%)로, 많은 고령층이 은퇴 후에도 생활비를 위해 일자리를 찾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온라인 구직 절차와 ‘디지털 소외’로 실제 구직 활동을 이어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메타본(Metabon)이 선보인 ‘시니어즈’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가 개인 조건을 분석해 맞춤형 일자리를 추천하는 서비스다.

‘시니어즈(SENIORZ)’는 국내 25개 구인구직 플랫폼의 연간 약 110만 건의 중장년층 채용 정보를 AI가 수집·분류한다. 근무시간·업무 강도·직무 유형 등 ‘시니어 친화 키워드’를 기준으로 정리해 챗봇과 대화하는 것만으로도 최적의 일자리를 빠르게 매칭한다.

기존에는 평균 35분 이상 소요되던 구직·지원 절차가 ‘시니어즈(SENIORZ)’에서는 2분 만에 완료된다.

메타본(Metabon)은 시니어들의 디지털 접근성을 고려해 큰 글씨, 단순 버튼, 음성 안내 기능을 UI에 반영했다.

메타본(Metabon), AI기반 시니어 구직 ‘시니어즈(SENIORZ)’ 출시
시니어즈 전략 회의 중인 김진희 대표와 메타본 실무진들(이미지=메타본)

실제 이용자인 60세 최모 씨는 구직 사이트는 절차가 복잡해 포기한 적이 많았지만, 시니어즈에서는 챗봇이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바로 추천해 실제 취업까지 이어졌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지난 5월 베타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5개월도 되지 않아 ‘시니어즈’의 누적 방문자는 55만 명을 넘어섰다. 메타본 김진희 대표(CEO)는 “디지털 숙련도가 낮은 시니어층에서도 높은 이용률을 기록한 것은 서비스가 실제 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결과”라며 “앞으로 자기소개서 자동 작성, AI 증명사진 제작 기능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타본(Metabon), AI기반 시니어 구직 ‘시니어즈(SENIORZ)’ 출시
메타본의 중장년층 AI 일자리 소프트웨어 ‘시니어즈’ 로고(이미지=메타본)

메타본(Metabon)은 네이버 출신들이 함께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김진희 대표(CEO)는 네이버에서 10년 동안 신규 서비스 기획 및 출시를 담당하며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전략을 이끌어온 전문가며, 전중달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데이터 분석과 추천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한 기술인력이다. 두 공동 창업자는 기술과 사용자 경험의 결합을 통해 시니어 세대가 쉽고 빠르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했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시니어는 전용 홈페이지(www.seniorz.kr)에 접속해 간단히 신청하면 된다.

▌메타본(Metabon) 소개

메타본(Metabon)은 ‘IT 기술로 사람을 이롭게 하자’는 명확한 비전 아래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중장년층의 빈곤 및 일자리 소외 문제를 기술력으로 해결하는 에이지테크(AgeTech) 스타트업이다. 네이버 출신의 공동 창업자들(CEO, CTO, CPO)이 의기투합해 설립됐으며, 첨단 AI 기술과 사용자 중심 플랫폼 전략을 결합해 시니어 세대의 구직 활동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서비스인 AI 기반 시니어 맞춤형 일자리 추천 플랫폼 ‘시니어즈(SENIORZ)’를 통해 중장년층이 원하는 일자리를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과 재무적 성과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피플게이트 게재 문의 / 업무제휴 상담 : peoplegate1@gmail.com